느와르 영화(film noir)는 범죄와 폭력을 다루며, 도덕적 모호함이나 성적 동기에 집중하는 영화를 뜻합니다.
'느와르'란 불어로 '검은색'을 뜻하는 말이며, 1946년의 프랑스 비평가인 니노 프랑크가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습니다.
할리우드의 필름 느와르 시기는 보편적으로 1940년 초~ 1950년대 말에 걸쳐있습니다. 독일의 표현주의에 뿌리를 둔 흑백풍의 우울한 스타일과 관련이 깊은데, 많은 이야기들이 대공황 시기 범죄소설인 하드보일드파(탐정스토리의 범죄소설)로부터 영감을 받았습니다.
느와르 영화의 정의에 대하여
프랑스의 비평가 레몽보르드와 에티엔 촘톤이 느와르를 최초로 정의하였습니다. 느와르 영화를 몽환적인 것, 이상한 것, 에로틱한 것, 모호한 것, 또는 잔인한 것이라고 부른다면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이라고도 지적하였는데요. 어떤 느와르 영화 작품도 이 다섯 요소를 동일하게 가지고 있지 않아서, 어떤 정의도 일반적인 동의도 얻을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만큼 느와르의 영역은 매우 다양하여 일반적으로 정의하려는 시도는 '성급한 일반화'를 범하게 될 수 있습니다.
갱스터 이야기로부터 사회비판적인 주제에 이르기까지 느와르는 다양한 모습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로 도시적인 배경을 가지는 경우가 많지만, 작은 동네, 농촌, 넓게 트인 도로 위의 배경도 많기 때문에 배경은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순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캐릭터로 사설탐정 혹은 악녀를 꼽기도 하나,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서 캐릭터로 장르를 구별하는 것도 곤란합니다.
문학적인 영향
느와르에 문학적 영향을 준 것으로는 미국 탐정소설이자 범죄소설인 하드보일드 경향이 있습니다. 느와르의 대표 고전 중 하나인 <몰타의 매>는 대실 해밋의 소설을 영화화한 것입니다. 제임스M. 케인의 소설 <이중배상>,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작가 레이먼드 챈들러는 스스로 느와르 장르의 극작가로 활동하여서 <기차의 이방인> 외 다수의 대본을 썼습니다. 해밋과 챈들러는 사설탐정에 초점을 맞췄지만, 케인은 영웅적 주인공이나 범죄의 해결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심리적인 분석에 공을 들였습니다. 또 하나의 성공작가인 코넬 울리치는 <블랙 엔젤>, <새벽의 데드라인> 등 자신의 소설 중 13편이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느와르 영화의 전통적인 특징
남성 캐릭터는 주로 사설 탐정이나 수사관으로 등장하며, 무목적성, 염세주의, 허무주의, 터프가이, 본능, 생존을 위한 폭력을 대표합니다. 보통 도덕적 갈등과 약점으로 적에게 희생되거나 패배하는 것으로 불행한 결말을 맞게 됩니다. 여성 캐릭터는 사회적, 경제적, 성적으로 독립된 여성상을 대표하며, 여성에 대한 남성들의 두려움, 불안함을 팜므파탈로 표현했습니다. 영화의 스타일은 어둠과 빛의 명암을 뚜렷하게 강조하는 키아로스쿠로 조명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빛 자체보다는 실루엣과 그림자에 많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갑작스러운 앵글과 숏의 변화를 주며, 비스듬하며 수직구도를 사용해 긴장감을 야기합니다. 와이드 앵글, 어지러운 숏들, 딥 포커스를 사용합니다. 현실의 복합성, 이중성을 강조하기를 좋아하며, 캐릭터의 불안한 심리 상태를 형상화합니다.
고전 시기
1940년대~19050년대는 미국에서 느와르 영화의 고전 시기라고 불립니다. 어떤 평론가들은 완벽히 개화된 느와르 작품이라고 하는 반면 대부분의 비평가들은 시범적인 느와르라고 간주합니다. 현재에 이르러 최초의 느와르작품이라고 꼽히는 <3층의 이방인>에서는 음울한 그림자, 도시적인 세팅, 억울한 혐의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주인공의 스토리 등 느와르의 대표적인 특징이 모두 드러납니다. 이 시기의 느와르영화는 대부분 평균에 못미치는 제작비로 유명배우 없이 제작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작가와 감독을 비롯한 영화관계자들은 대작을 만들어야된다는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습니다. 그 당시 미국의 검열제도 아래에서는 주인공들이 범죄를 저지르고 벌을 피해가거나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 같은 침대를 누리지 못했지만, 그 한계 안에서도 다수의 영화가 표현할 수 있는 장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유럽의 느와르
누군가는 느와르가 미국의 고유한 스타일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러나 그것은 세계적인 현상으로 간주됩니다. 고전시기의 이전에도 미국 밖에서 제작된 느와르 작품들이 있었습니다. 프랑스는 스타일이나 감각, 주제의 관점에서 할리우드 영화와 유사성이 많습니다. 많이 알려진 프랑스 영화 중에서 느와르에 포함될 만한 것은 <Le Salaire de la peur>, <Quai des Orfèvres>, <Casque d'or> 등이 있습니다.
영국의 고전시기 제작된 다수의 스릴러물들도 느와르로 언급되고는 합니다. 이 시기 가장 유명한 것은 캐럴 리드 감독의 <제3의 사나이>를 꼽을 수 있습니다. 소설가 그레이엄 그린의 원작에 기초한 작품으로 조지프 코튼이 주연을 맡았으며,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의 비엔나를 배경으로 했습니다. 주연배우가 할리우드에서 주로 활동하는 미국배우여서인지 영국영화이면서도, 종종 할리우드 느와르로 소개되기도 합니다.
고전과 네오 느와르
그 둘 사이의 경계선을 명확히 긋기가 쉽지 않지만, 새로운 경향이 고전 시기의 끝자락에서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느와르 영화 기반 위에 '세뇌'라는 새로운 주제를 다룬 것입니다.
로런스 캐즈던이 각본, 감독을 맡은 1981년 <보디 히트>가 에로틱하며 자극적인 분위기로 느와르 영화의 새로운 면을 부각했습니다. 할리우드 거대 영화사들의 위험 회피경향이 시작되던 차에, 네오 느와르는 상업적인 생존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중 수익을 가장 많이 올리며, 전통에 위트를 섞어 새로운 면을 보여준 작품으로는 폴 버호벤이 감독한 <원초적 본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30년간 거대 자본을 투입하여 가장 많은 신경향 느와르를 만든 감독은 바로 마이클 맨입니다. 그는 <Heat>, <마이애미 바이스> 등의 TV 시리즈를 만들었습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애니메이션의 특징과 분류 (0) | 2022.11.30 |
---|---|
미국의 영화 제작사, 유니버셜 스튜디오의 역사 (0) | 2022.11.30 |
댓글0